임상시험절차
제1상 임상약리시험 (phase Ⅰ study): 약물의 안전용량 범위 파악
- 약을 인체에 투여했을 때 견딜만하다고 생각되는 최대용량
- 약물 투여 후 흡수, 분포, 배설, 대사되는 약의 기본적인 약동학적 특성
- 단독과 반복 투여에 따른 약동학/약력학 임상 시험
- 다른 치료적 대안이 없는 환자 15~30명 정도의 소수 환자를 대상
제2상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phase Ⅱ study): 약물의 효과 및 안정성 평가
- 신약 후보 물질이 효과를 보이고 안전한 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시행됩니다.
- 제1상 임상시험 결과 안전성이 확보된 최대 약물 용량이 투여되며, 일반적으로 100 여명 정도의 특정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합니다.
- 이 과정을 통해 다음 단계의 임상시험(제3상 임상시험)으로 진행할 지 여부도 결정.
- 제1상 임상시험보다 참여 환자수가 증가하는 반면 참여 환자의 자격 규정은 엄격해집니다.
제3상 치료적 확증 임상시험(phase Ⅲ study): 약물의 우수성 평가
- 새로운 치료제가 기존의 치료제보다 효과가 더 우수하다거나, 효과는 같더라도 부작용이 더 적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단계로 수백~수천 명을 대상으로 하게 됩니다.
- 무작위 배정에 의한 용량-반응 임상시험
- 대조군을 이용한 비교 임상 시험
- 이환율*/사망률에 대한 임상시험
- 유효성 확립을 위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임상시험
제4상 치료적 사용 임상시험(phase Ⅳ study) : 시판후 조사(post marketing surveillance):
- 신약의 시판 허가 후 장기 투여 시 나타날 수도 있는 흔하지 않은 이상반응 (부작용)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다시 확립/검증
- 이환율*/사망률에 대한 임상시험
- 약물경제학적 측면의 임상시험
* 이환율 [罹患率] : 병에 걸리는 사람의 비율/ the disease rate, morbidity, the attack rate
'바이오 세상 >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강국 도약 청사진 (식약처) (0) | 2014.03.07 |
---|---|
▶ 엠페릭, 바이오의약품 인허가 교육과정 개설 (0) | 2014.03.07 |
Polar Vortex (극 소용돌이): 103년만의 나이아가라 폭포 결빙 유발 (0) | 2014.01.11 |
암젠의신화 (0) | 2014.01.08 |
암젠 (0) | 201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