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 세상 /과학상식

"가장 전문가적 당뇨병약 TZD, 알고 쓰면 정말 명약" |메디칼타임즈 손의식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당뇨병 진료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당뇨병 진료인원 중 제2형 당뇨병 진료인원의 비율은 전체 진료환자의 86.6%인 208만 3812명을 차지하고 있다. 미진료 당뇨환자까지 감안하면 전체 당뇨환자의 95% 이상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일 것이라는 게 당뇨병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같은 이유로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글리타존(이하 TZD(thiazolidinedione)) 계열의 약물이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인슈린 저항성 개선뿐 아니라 ▲혈당 변화가 심하지 않다는 점 ▲베타세포 보호에 긍정적이라는 점 ▲지방간 또는 지방간 우려 환자 처방시 적합하다는 점 ▲메트포민 병용 처방시 효과적이라는 점 ▲저혈당 부작용이 적다는 점 ▲제2형 .. 더보기
DPP4, MET, 인슐린 중 노인당뇨병 환자와 찰떡궁합은? |메디칼타임즈 이석준 기자| 노인당뇨병 환자는 건강상태, 당뇨병 유병기간, 동반 질환과 합병증 유무, 인지능력과 우울증, 경제적 상황, 삶의 질 그리고 여명 등이 모두 다르다. 때문에 의료진들은 더욱 개별화된 치료를 강조한다. 그렇다면 노인당뇨병 환자에게 어떤 계열의 당뇨병치료제가 적합할까.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계열별 특성을 기초로 장단점을 살펴봤다. 자료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지현 교수가 '당뇨병' 학회지 최근호인 16권 2호에 실은 '노인당뇨병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참고했다. ▲ 대표 DPP-4 억제제. 설폰요소제(SU) SU는 많은 임상 경험 축적으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됐고 투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노인당뇨병 환자에서는 저혈당 발생 위험도가 높은 약제다. UKPDS.. 더보기
‘피 한방울로 진단 끝…’ 30세 자수성가 미녀과학자 엘리자베스 홈즈 누군가를 ‘수조원대 재산을 가진 30세’라고 소개한다면, 그 인물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대체로 비슷할 것이다. 아부다비의 거부 만수르 처럼 부유한 집안에서 ‘황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운좋은 사람’이거나,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처럼 운좋게 시대의 흐름을 탄 IT천재일 것이라고. 하지만 이 30세 인물이 사업가라기보다 과학자에 가깝다면 이야기가 좀 달라진다. 게다가 미모를 갖춘 금발머리의 ‘여성’이라면 놀라움은 두배가 될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젊은 자수성가 여성 빌리어네어 엘리자베스 홈즈 최근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젊은 거부가 바로 그런 인물이다. 바로 엘리자베스 홈스(Elizabeth Holmes) 테라노스(Theranos)사 대표다. 그녀는 이달초 포브스지가 선정한 미국 400대 부호 .. 더보기
변 색깔로 보는 당신의 장(腸) 건강은? 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31337511 나의 장(腸) 건강 상태 진단: - 방귀 냄새가 지독하고, 변 색깔이 ‘황금색’이 아니라면 장 건강은 낙제점이다. - 장이 건강하지 못하면 속이 편하지 않을 뿐더러 피부가 거칠어지고, 만성 피로에 시달린다. - 병든 장은 대장암 발생과도 연결 - 불규칙한 식생활과 육류 중심의 편식이 주요 원인 기사 이미지 보기 비상 걸린 장 건강 대장암이 늘어나는 것은 장내 환경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불규칙한 식생활과 육류 중심의 편식이 주요 원인이다. 김정욱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육류나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대변이 장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담즙산 같은 독성물질 분비가 촉진돼 장점.. 더보기
발기부전 치료제,잘못 복용하면 ‘사망’에 이를수 있다 시중에 흔히 알려져 있는 비아그라, 씨알리스 등은 비뇨기과 전문의의 처방 후 약국에서만 구입이 가능하다. 처방 후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사람들은 불법으로 조제된 발기부전 치료제에 손을 뻗는다. 온라인 쇼핑몰 및 성인용품점에서 구입한 발기부전 치료제가 정품과 달라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법 발기부전 치료제 판매업자들은 정품 치료제를 소량만 넣은 뒤 이를 다른 의약품과 혼합해 파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을 우롱하고 있다. 만약 이를 제대로 처방받지 않고 불법 업자에게 구입한 뒤 복용한다면 신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끼칠 수 있다. 발기부전 치료제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환자에게 처방되는 '질산염(nitrate)제재' 의약품과 같이 복용한다면 혈압이 극도로 낮아지게 된다. 이는 심.. 더보기
뉴라스타,항암요법 주기당 투여 단축,환자 생존율 개선 '뉴라스타'가 발열성호중구 감소증(FN) 예방을 통해 치료성적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시됐다 지난 4월 26일 제주신라호텔에서 열린 제3차 한국유방암학회 국제심포지엄에서 마련된 'Peg-filgrastim'(수입판매자:한국쿄와하코기린, 뉴라스타프리필드시린지주) 관련 세미나에서 미국 MD 앤더슨암센터의 Mariana Chavez Mac Gregor 교수는 “Clinical impact of primary prophylaxis for FN in breast cancer patients”라는 주제 발표에서FN 예방의 중요성, FN 예방을 통한 RDI 개선 효과, 환자의 장기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강의하고 "유방암의 경우는 골수억압이 강한 항암치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Peg-filgrastim.. 더보기
'고가 희귀의약품' 환자 접근성 높여야 건강보험의 약제급여 결정 시 비용효과성 평가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고가의 희귀의약품에 대한 환자접근성 제고 필요성이 제기됐다. 신약은 비용효과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급여에서 제외되는 반면, 희귀의약품의 경우 대체치료제가 없고 비급여로 결정될 경우 환자의 비용부담이 매우 높다. 그러나 환자 수가 적다는 등의 문제와 복합적으로 작용해 급여에 관한 의사결정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우려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호주의 Life Saving Drugs Program 운영 현황과 시사점(박실비아 외 1명)’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상황을 지적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희귀의약품이 점차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의료비도 급등하고 있다는 것. 이에 연구원은 “한정된 재원으로 국민의 보.. 더보기
▶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강국 도약 청사진 (식약처) ▶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강국 도약 청사진 - 제품화 신속지원 ‧ 산업경쟁력 강화‧ 품질 고도화 식약처가 2018년 까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규제 역량을 강화하고 첨단 바 이오신약의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며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진출에 올인한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1. 개발단계에서는 백신 자급화를 촉진하고 규제와 제도, 기술종합 정모망 구축 2. 생산단계에서는 설계기반 품질관리(QbD) 제도를 도입하고 3. 혈액제의 GMP도입 및 안전관리를 강화해 초점을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개발부터 허가까지 바이오의약품 제품화 지원단을 운영하면서 전방위적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특히 3상 임상시험 진입 등 시장 진입이 임박한 품목들을 집중 지원한다. 현재 3상 .. 더보기
▶ 엠페릭, 바이오의약품 인허가 교육과정 개설 ▶ 엠페릭, 바이오의약품 인허가 교육과정 개설 의약품, 바이오의약품 및 헬스케어 분야의 전문교육기관인 엠페릭(www.mperic.com)이 3월 19일(수) 강남 CNN the Biz에서 '바이오 의약품 인허가 전문가 교육'을 실시한다. 엠페릭은 이번 교육과정을 통해 최근 업계에서 핫 이슈가 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과 관련한 인허가 전반을 다소 심도 있는 중급 전문가 과정으로 다룰 예정이다. 엠페릭 관계자는 "금번 교육과정은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인허가, 제조 및 판매에 종사하는 관련 업계의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관련 인허가 과정의 전반을 최신의 트렌드를 반영해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따라서, 관련 규정의 구조와 내용의 기초적인 안내 위주가 되어 온 초급자 과정과는 차별.. 더보기
임상시험절차 임상시험절차 제1상 임상약리시험 (phase Ⅰ study): 약물의 안전용량 범위 파악 약을 인체에 투여했을 때 견딜만하다고 생각되는 최대용량 약물 투여 후 흡수, 분포, 배설, 대사되는 약의 기본적인 약동학적 특성 단독과 반복 투여에 따른 약동학/약력학 임상 시험 다른 치료적 대안이 없는 환자 15~30명 정도의 소수 환자를 대상 제2상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phase Ⅱ study): 약물의 효과 및 안정성 평가 신약 후보 물질이 효과를 보이고 안전한 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시행됩니다. 제1상 임상시험 결과 안전성이 확보된 최대 약물 용량이 투여되며, 일반적으로 100 여명 정도의 특정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다음 단계의 임상시험(제3상 임상시험)으로 진행할 지 여부도 결정. 제.. 더보기